반응형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회

 

월세는 매월 고정적으로 나가기 때문에 부담스러운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청년이면서 소득과 재산이 조건에 맞는다면 월세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포스팅 해 드릴게요!!

 

1. 매월 20만 원씩 12개월 동안 받아요

보증금 5,000만 원 이하이면서 월세가 70만 원 이하 주택에서 부모와 같이 거주하지 않는 청년을 위한 정책인데요, 실제 내고 있는 월세의 최대 20만 원까지 1년동안 지원해 줍니다. 이미 1차에서 9만 7천명이 혜택을 받았고 이번이 2차 지원이에요. 기존 1차 사업 또는 지자체 사업에서 월세를 지원받은 청년도 지원이 종료되었다면 이번2차 사업에 신청할 수있다는 것은 완전 개꾸르!!

 

2. 지원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상 -
만 19세~34세 이하 청년 중 월세 70만 원 이하, 보증금 5,000만 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무주택자
* 2024년 신청 : 1989년 ~ 2005년생
* 2025년 신청 : 1990년 ~ 2006년생

- 조건 -
* 청년가구 : 소득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1인가구 133만 원) / 재산가액 1억 2,200만 원 이하
* 원가구 :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3인가구 471만 원) / 재산가액 4억 7,000만 원 이하

- 제외 대상 -
* 주택소유자 (분양권, 입주권 포함)
* 2촌 이내 가족으로부터 임차한 경우
*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 1실(방)에 다수가 거주하는 임대차
* 국토부 또는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청년월세 지원을 수혜 중인 경우 (종료시 지원 가능)

이번에는 청약통장 가입을 필수 조건으로 보고 있어요. 신청하고 싶다면 먼저 청약통장에 가입했는지부터 확인해야 해요. 청약통장 종류는 상관없습니다. 본인이 지원 대상이 되는지 헷갈린다면 복지로에서 모의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3. 이렇게 신청하세요.

- 신청기간 -
* 2024년 2월26일 ~ 2025년 2월 25일

- 지급기간 -
* 2024년~ 3월 ~ 2026년 12월 중 최대 12개월

- 온라인 신청 -
* 국민복지포털 사이트 복지로

- 방문신청 -
*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선착순으로 모집하는 건 아니라서 주변에 필요하신 분들이 있다면 신청할 수 있도록 공유해 주세요 ^^

반응형
반응형

한국의 대표적 음식 김

 

전 세계 수산물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는 식품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주인공은 바로 국민 밥반찬인 인데요, 한국이 김을 수출하는 나라만 124개국에 달할 정도라고 합니다. 수출액도 매년 8%씩 늘어 작년에는 무려 1조 원을 돌파했죠. 

효자 수출품 반도체에 빗대어 검은 반도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인데요, 어쩌다 김은 외국에서 잘 팔리게 됐을까요?

 

1. 김 생산량이 줄고 있는 옆 나라 일본

김을 식품으로 가공해 판매하는 나라는 전세계에서 한국과 일본, 중국밖에 없어요. 그중 단연코 우리나라의 생산량이 압도적이죠. 한국의 연간 물김 생산량은 55만톤, 마른 김으로 환산하면 150억장에 달한다고 해요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김을 먹었을까요?
적어도 삼국시대부터 김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김이 문헌상으로 처음 등장한 건 고려시대 삼국유사인데요, '신라시대부터김을먹었다'고 쓰여 있습니다.

일본도우리나라처럼평소에식사를 할때김을많이먹어요. 게다가고급초밥집을  중심으로 고품질 김에대한 수요도 높아요.

하지만 일본은 최근 어촌 인구가 고령화되고 해수온이 상승하면서 김 생산량이 줄었어요. 당연히 김 가격은 크게 올랐죠

반면에 우리나라는 여전히 높은 생산량과 품질을 유지하고 있어요. 이때문에 자연스레 일본에서 한국 김 수입이 늘어났어요. 현재는 일본이 수입하는 김 중 약 85%가 우리나라 김이라고 해요.

 

2. 검은 종이가 K-김으로

우리나라 김이 인기인 건 비단 일본만의 이야기가 아니에요. 한국 김은 미국과 중국, 태국, 러시아 등 120개가 넘는 국가에 수출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김 수출액 1위를 차지한 나라는 미국이에요.

옛날에는 미국에서 김을 '바다에서 나는 잡초' 라고 생각했다고 해요. 그탓에 영어이름도 'Seawssd' 인데요, 어떤 사람들은 김을  먹는 모습을 보고 검은종이를 먹는다며 놀리기도 했어요.

지금은 인식이 많이 바뀌어 우리나라 김을 1년에 2천억씩 수입하고 있어요. 미국에서는 조미김이나 김부각을 반찬보다는 간식, 술안주로 즐겨 먹는다고 해요.

최근 K-콘텐츠의 인기가 높아지며 김밥 등 김이 들어간 음식이 유행한 것도 김 수출 증대에 기여 했습니다.(국뽕뿜뿜)

 

3. 김의 진화는 현재 진행형

우리나라에서 김은 주로 밥과 함께 먹지만, 해외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고 있습니다. 막대 모양의 김이 나오는가 하면, 두 장의 구운김 사이에 토핑이 들어간 샌드위치가 등장하기도 했죠.

맛도 다양하게 바뀌고 있는데요, 간식으로 먹을 때는 김 자체만 먹기 때문에 짠맛과 기름진 맛을 줄여서 판매한다고 합니다. 또한 바베큐, 핫칠리, 와사비, 치즈 등 외국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맛의 김 스낵이 등장하기도 했죠.

바삭하고 맛도 좋지만, 칼로리는 낮다는 장점 덕분에 김은 다이어트 간식으로 주목 받고있어요. 해외에선 샐러드 토핑으로 활용되고, 감자칩의 대체재로도 각광 받고 있어요.

이젠 건강 간식으로 널리 퍼지는 김이 앞으로 또 어떤 모습으로 변신할 지 기대해 볼까요??

반응형
반응형

국가 장학금

오늘 포스팅 할 내용은 20024년 국가장학금 신청에 관한 내용입니다. 벌써 대학교 개강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다들 국가장학금 신청 잊지 않으셨죠?? 지금 2024년 1학기 국가장학금 마지막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조건과 지원금액도 꼼꼼하게 확인해 보세요 ^^

 

1. 소득과 성적 기준을 맞춰야 합니다.

국가장학금은  소득과 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대학생들에게 나라에서 학비를 지원해주는 제도예요.

장학금을 받으려면 가구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해요. 소득은 10구간으로 나뉘는데, 이중 8구간 이내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올해 월소득 기준은 아래표를 참고하세요!

구          분 가구소득별 지원구간 기준 중위소득 비율
1구간 1,718,974원(이하) 30%
2구간 2,864,957원(이하) 50%
3구간 4,010,939원(이하) 70%
4구간 5,156,922원(이하) 90%
5구간 5,729,913원(이하) 100%
6구간 7,448,887원(이하) 130%
7구간 8,594,870원(이하) 150%
8구간 11,459,826원(이하) 200%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을 수강해야 하고, 성적은 100점 중 80점, 보통 B학점 이상을 받아야 장학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입생의 경우 성적기준을 정용받지 않습니다.

 

2. 올 해 부터는 장학금이 늘어났습니다.

- 국가 장학금 연간 최대 지원 금액 -

소득구간 2023년 2024년
기초 / 차상위 첫째는 700만원까지 둘째부터는 전액 지원 모든 자녀에게 등록금 전액 지원
1~3구간 520만원 570만원
4~6구간 390만원 420만원

장학금은 소득에 따라 결정되는데, 2024년부터는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올해보다 늘어납니다. 작년까지는 기초수급자나 차상위 계층의 경우 둘째부터만 전액 장학금을 지원했는데요, 앞으로는 첫째는 둘째든 전액 장학금을 받게 돼요. 또 소득 1~3구간은 50만원씩, 4~6구간은 30만원씩 연간 받을 수 있는 장학금 최대 금액이 인상돼요. 7,8구간은 작년과 동일하게 최대 350만원을 지원받습니다.

 

3. 신청 놓치지 마세요

2024년 1학기 국가장학금 2차 신청은 3월14일 18시까지 입니다.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빠르게 신청하는 꿀TIP
장학금 신청에 필요한 서류, 카카오톡 전자증명서로 준비하면 편리합니다. 주민등록등본과 건강보험자격확인서 등 다양한 증명서를 쉽고 빠르게 발급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국민건강보험공단

 

오늘 포스팅해드릴 내용은 지역가입자의 국민건강 보험료 인하 내용에 관한 글 입니다!!  35년 만에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재산에 포함됐던 자동차가 빠지고 지역가입자 재산보험료의 기본공제가 1억 원으로 확대되면서 보험료가 평균 월 2만 5,000원 인하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1. 건강보험료는 누가 내나요?

국민건강보험은 공공의료보험으로, 평소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보험료를 내면 필요할 때  저렴한 금액으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 국민이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 있습니다. 건강보험료는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나눠서 결정되는데요, 직장가입자는 소득에 따라 건강보험료를 부과하는 반면에 지역가입자는 소득과 가지고 있는 재산을 함께 고려해 보험료가 책정됩니다.

직장가입자 : 근로자, 공무원, 교직원 등
지역가입자 : 사업자, 은퇴자 등 직장가입자 외 모든 사람

 

2. 지역가입자 재산보험료에서 자동차가 빠집니다.

그런데 직장에서 은퇴한 경우에 소득이 줄었음에도 기존에 소유하던 주택 등에 대해 재산보험료를 내야 한다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었죠? 게다가 자동차에 건강보험료를 부과하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했었기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었는데요, 결국 1989년부터 자동차에 부과되던 재산보험료가 폐지돼요.

차량가액 4,000만 원 이상에 부과되던 보험료가 2024년 2월부터 폐지
*차량가액은 차량의 현재 가치로, 출시가와 출고연도 등을 고려해 금액이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서 그동안 자동차보험료를 냈던 9만 6000세대 보험료가 평균 2만 9,000원 인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3. 재산보험료 기본공제액이 1억 원으로 늘어납니다.

지역가입자 재산에 대해서 보험료를 부과할 때 지금까지는 5,000만 원까지만 공제했었는데요, 이를 1억 원으로 확대하면서 보험료 납부에 대한 부담을 낮췄습니다. 현재 재산보험료는 353만 세대 지역가입자가 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는데, 이 중 330만 세대의 재산보험료가 평균 월 2만 4,000원 낮아질 것 같습니다. 특히 재산금액이 적은 일부 세대는 인하 폭이 월 5만 6,000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죠! 

이렇게 바뀐 건강보험료는 오늘부터 확인할 수 있고 3월 10일까지 납부하면 돼요.건강보험 지역가입자라면 혹시 내건강보험료도 내려갔는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조회 해 보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반응형

주택청약

지난해 연말 화제가 되었던 청년주택드림청약을 기억하시나요 다들???

최대 4.5% 이자에 청약에 당첨되면 저금리 대출까지 받을 수 있는 상품인데 오늘부터 신청받기 시작했어요!!

 

문턱은 낮아지고 혜택은 늘어났어요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무주택 청년에게 더 좋은 금리와 소득공제 혜택 등을 제공해 주는 청년 전용 청약통장이에요!       기존의 청년 우대형 청양통장에서 가입 조건은 완화하고, 혜택은 확대한 상품이죠.

가입조건
나이 : 만 19세에서 34세 무주택 청년
연소득 : 5,000만원 이하
납부 한도 : 월 100만원
금리 : 연 최대 4.5%

이전에는 연소득 3,600만 원 이하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에 가입할 수 있었는데, 주택드림청약통장은 연소득 5,000만 원까지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목돈을 모을 수 있도록 매달 넣을 수 있는 한도도 5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늘어났고, 납입한 금액의 40%를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이 3,600만 원 이하는 이자소득 500만 원까지 이자소득세도 면제된다는 사실은 개꿀!!

 

집 살 때는 저금리 대출도 해줘요!!

이 통장을 통해 주택청약에서 당첨되면 저금리 대출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분양가의 80%까지 연 2%대 금리로 최대 40년 동안 주택구입자금을 빌려줘요. 일반 대출 금리의 절반에 불과한거쥬!??

청년주택드림대출 조건
나이 : 만 20~39세 무주택 청년
대상 : 1년이상, 1,000만원 이상 납입
주택 : 분양가 6억원,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내
대출 한도 : 분양가 80%, 4억8,000만원 이내

 

오늘부터 신청 가능 합니다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2월 21일부터 신한, 우리, 국민, 하나, 농협, 기업 등 대부분의 은행에서 가입가능해요!

청년우대형청약저축 기존 가입자는 따로 신청 할 필요 없이 주택드림청약통장으로 자동 전환 돼요.
일반 청약저축 가입자 중 연령과 소득기준을 충족하는 분들은 은행 지점에서 전환을 신텅하면 됩니다.

 

하나 쯤 가지고 있으면 좋은 청약통장, 이왕이면 혜택이 더 큰 정책금융상품으로 갈아타는 것도 괜찮겠죠?                          주변에 내 집 마련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공유 및 추천해 주세요 ^^

반응형

+ Recent posts